서블릿 속성이란 ServletContext, HttpSession, HttpServletRequest 세 가지 서블릿 API 클래스에 저장되는 객체라고 보면 된다.

서블릿 API의 setAttribute(String name, Object value)로 바인딩하고, 필요할 때 getAttrivute(String name)으로 바인딩된 속성을 가져오면 된다. 또한 removeAttribute(String name)을 이용해 속성을 서블릿 API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.

API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, 특징 및 기능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규칙 또는 프로토콜

 

 

서블릿 스코프는 서블릿 API에 바인딩된 속성에 대한 접근 범위를 의미

  • ServletContext에 바인딩된 속성은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스코프를 갖는다.
  • HttpSession에 바인딩된 속성은 그 HttpSession에 해당하는 브라우저에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세션 스코프를 갖는다.
  • HttpServletRequest는 해당 요청/응답에 대해서만 접근하므로 리퀘스트 스코프를 갖는다.

 

스코프 기능

로그인 상태 유지 기능

  • 장바구니 기능
  • MVC의 Model과 View의 데이터 전달 기능

 

 


 

JSP는 HTML,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JSP 요소들을 사용하여 화면을 구현한다.

톰캣 컨테이너에서 JSP 변환 과정

  1. 변환 단계 : 컨테이너는 JSP 파일을 자바 파일로 변환한다.
  2. 컴파일 단계 : 컨테이너는 변환된 자바 파일을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한다.
  3. 실행 단계 : 컨테이너는 class 파일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브라우저로 전송하여 출력한다.

 

JSP 스크립트 요소

JSP 스크립트 요소란 JSP 페이지에서 여러 가지 동적인 처리를 제공하는 기능으로, <% %> 안에 자바 코드로 구현한다.

<% %>를 스크립트릿(scriptlet)이라고 부른다.

  1. 선언문 : JSP에서 변수나 메서드를 선언할 때 사용<%! 멤버 변수 or 멤버 메서드 %>
  1. 스크립트릿 : JSP에서 자바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
  2. <% 자바 코드 %>
  3. 표현식 : JSP에서 변수의 값을 출력할 때 사용
  4. <%=값 or 자바 변수 or 자바 식 %>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QLD 시험준비  (0) 2024.11.16
API 종류  (0) 2024.08.17
서블릿(Servlet) - 쿠키, 세션 연동  (0) 2024.08.15
서블릿(Servlet) - forward, 바인딩  (0) 2024.08.15
DB Index - B-tree 인덱스  (1) 2024.08.14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