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NS (Domain Name System)

www.naver.com에서 www 뒤에오는 naver.com을 도메인이라 칭함
www는 host name이라 부른다. 

내 컴퓨터에서 www.naver.com에 접속하려고 할 때, 현재 내 브라우저는 이 서버의 IP를 알지 못한다.이때 브라우저는 먼저 PC에 설정된 로컬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과 호스트명의 IP를 갖고 있는지 물어본다.
<DNS 서버>는 그냥 <네임서버>라 불리기도 한다.

로컬 DNS 서버에 이 주소의 정보가 이미 캐싱되어있을 수도 있고, 없을 수도 있다. 있다면 바로 반환한다.

없는 경우

로컬 DNS는 Root DNS 서버에 주소에 해당하는 IP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. (루트 DNS 서버 자체는 전세계에 13군데 / 한국에는 없지만 미러서버가 이를 대신한다.)

이 루트 DNS 서버는 응답으로 .com으로 끝나는 도메인들을 담당하는 서버의 IP주소를 반환한다.

로컬 DNS서버는 이 주소를 받아들고 .com / .net / .org ...에 찾아간다.
.com 담당 서버는 naver.com의 도메인 정보를 가진 DNS 서버의 IP 주소를 반환한다. 그 주소를 보고 마지막으로 naver.com / apple.com ... 로 찾아가면 naver.com에 여러 호스트네임별 IP 주소들이 있다. (www.naver.com / mail.naver.com / blog.naver.com ...) 여기로부터 www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얻어낸 다음 브라우저에 반환하고 비로소 www.naver.com의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. 

 

 

DNS 스푸핑(spoofing)

  • 사용자 컴퓨터가 DNS에 IP 물어보는 것을 가로채서 해커들이 만든 가짜 사이트 IP를 보내 이곳을 접속하게 할 수 있다.

A Record vs CName

A Record

  • 도메인을 서버의 IP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. 이 방법은 IP로의 직통연결이라 접속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.

CName

  • IP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서버의 경우 그 바뀌는 IP들에 일정하게 연결된 다른 도메인 즉, canonical name을 적는다는 것이다.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인터넷과 웹의 역사  (0) 2024.05.30
Bit와 Byte  (0) 2024.05.30
웹과 인터넷 개념  (0) 2024.05.29
IP 주소  (0) 2024.05.29
Window 단축키  (0) 2024.05.28

+ Recent posts